Surprise Me!

[팩트맨]‘오스카 트로피’ 누구 진열장에?

2020-02-14 100 Dailymotion

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 4개 부문 석권을 두고 여우주연상 수상자 르네젤위거도 이런 부러움 담긴 농담을 던졌는데요. <br /><br />[르네젤위거 / 배우(지난 10일)] <br />"겨우 이 정도인가요?" <br /><br />[봉준호 / 감독(지난 10일)] <br />"네, 너무 많죠? 미안합니다." <br /><br />4개 부문 수상이지만, 기생충 팀은 모두 6개의 오스카 트로피를 받았죠. <br /><br />이 트로피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지, 또 이 트로피들을 문화재로 등록해야 한단 일부 주장이 정말 가능한 건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 /><br />오스카 홈페이지에 정식 기재된 작품상 수상자는 봉준호 감독과 제작사인 바른손이앤에이 곽신애 대표입니다. <br /><br />감독상을 받은 봉 감독은 각본상에도 한진원 작가와 함께 이름을 올렸고, 국제영화상은 '기생충' 영화 자체에 수여됐는데요. <br /><br />이 역시 트로피에 이름이 적힌 봉준호 감독의 소유입니다. <br /><br />그런데 이 오스카 트로피, 그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는 차원에서 문화재 등재를 추진하자는 주장도 일각에서 흘러나왔는데요. <br /><br />등록 문화재가 되려면 만들어진 지 50년이 지나야 하고, 소장자 측이 직접 신청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. <br /><br />50년이 넘지 않았지만 최초, 최다, 최장 생산이라는 의미를 새겨 1969년산 금성 세탁기, 1975년산 포니 자동차 등이 지난 2013년 산업 기술 분야 문화재로 등록된 적이 있긴 합니다. <br /><br />그러나 무엇보다 특정 영화제의 상만 문화재로 지정하는 것, 문화재청 입장에서도 부담입니다. <br /><br />[문화재청 관계자] <br />"(다른) 상 받은 감독도 있는데 왜 이 사람만 해주냐는 것도 있어서 형평성이 제일 크고. 생존자가 어떻게 변할 수도 있으니까요." <br /><br />예비 문화재 지정 논란이 일었던 밴쿠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김연아 선수의 스케이트나 <br /><br />박세리 선수 골프채도 비슷한 이유로 아직까지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<br />종합하면 봉 감독과 제작사 등에게 돌아간 오스카 트로피, <br /><br />현재로선 등록 문화재가 되기 어렵습니다. <br /><br />이상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 /><br />※이 밖에도 궁금하거나 사실인지 확인하고 싶은 부분, 제보해주시면 팩트맨이 취재해서 전해드립니다. <br /><br /> <br />-이메일 : saint@donga.com <br />-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 <br /><br />취재:성혜란 기자 <br />연출·편집:이혜림 PD <br />구성:박지연 작가 <br />그래픽:전성철, 박소연 디자이너<br />

Buy Now on CodeCanyon